일상의 정보/LIFE (생활 )

한국의 외식 비용 왜 비싸게 느껴질까?

힘차게HIMCHAGE 2025. 3. 21. 08:30
반응형

한국의 외식비 상승이 일본이나 미국과 비교하여 구조적으로 더 높은지, 비슷한지 알아보았습니다.
요즘 외식 비용이 너무 많이 올라 점심 외식비 부담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느낌입니다.

한국의 외식비용 대표이미지

1. 한국 vs 일본 vs 미국: 외식비 상승률 비교

소비자 물가 대비 외식비 상승률

최근 몇 년간 한국, 일본, 미국의 외식비 상승률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외식비 상승률

 
1) 한국의 외식비 상승률은 2023년에는 5.9%로 일본(5.4%) 보다 높았지만, 미국(7.1%)보다는 낮았습니다.
2) 2024년 예상치로 보면 한국(3.1%)이 일본(3.8%) 보다 낮고, 미국(5.0%)보다는 여전히 낮습니다.
 
한국의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024년 약 2.3%) 대비 외식비 상승률(3.1%)을 보면,
외식비가 물가보다 더 빠르게 오르는 경향이 강합니다.
미국은 전반적인 물가 상승률이 높아 외식비도 자연스럽게 높고
일본은 엔저(円安)로 인해 수입 식재료 가격 부담이 커져 외식비 상승 압력은 존재합니다만
유통구조가 안정적이라 외식비도 안정적입니다
 

2. 외식비 상승의 구조적 요인 비교

원가상승의 주요 요인

1) 환율 및 수입물가 영향
     -. 한국은 식량 자급률이 낮아 곡물·육류 등 주요 식재료를 수입하는데,
         환율 상승(2024년 원/달러 1,350원대)이 부담을 가중함.
      -. 일본은 엔저가 지속되면서 수입 원가가 급등, 외식비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
      -. 미국은 자국에서 생산되는 곡물·육류가 많아 수입 의존도가 낮고,
         식자재 가격 상승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음.
2) 임대료 부담
      -. 한국은 상업지구(특히 서울, 강남, 홍대 등)의 임대료가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어
         외식업체의 부담이 큼.
      -. 일본도 도쿄, 오사카 같은 대도시에서는 임대료 상승이 있지만,
         지방 중소도시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임.
      -. 미국은 지역별 차이가 크며, 뉴욕·LA 등 대도시는 높은 임대료 부담이 있지만,
         중소도시는 비교적 저렴한 편.
3) 인건비 부담
      -. 한국은 최저임금이 꾸준히 오르고 있어 인건비 상승이 외식비 인상 요인이 됨.
      -. 일본은 최저임금이 상대적으로 낮고, 인건비 상승 속도가 더딤.
      -. 미국은 최저임금이 빠르게 오르고 있으며, 특히 패스트푸드 업계의 인건비 부담이 큼.
4) 유통구조 차이
      -. 한국은 중간 유통 단계가 많아 식자재 비용이 높게 책정됨.
      -. 일본은 일부 대형 유통업체(이온, 세븐 앤 아이홀딩스 등)가 시장을 통합하면서
         유통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음.
      -. 미국은 대형 마트(월마트, 코스트코)와 직거래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어 유통비용이 낮은 편.

3. 한국 외식비 상승이 더 빠를까?

1) 한국은 환율, 수입물가, 임대료, 인건비, 유통비용 등 모든 요소에서 비용 상승 압박을 받고 있어
    외식비 상승이 구조적으로 불가피한 상황.
3) 일본은 엔저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이 주요 원인이지만, 인건비 상승 속도가 느려
    상대적으로 외식비 인상이 완만한 편.
3) 미국은 전체적인 물가 상승률이 높고, 최저임금 인상 속도가 빨라 외식비가 크게 오르는 구조.
 
미국 > 한국 > 일본 순으로 외식비 상승률이 높은 편.
하지만 한국은 외식업의 비용이 환율 유통의 구조등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구조
소비자물가 대비 외식비 상승 속도가 빠르며,  단기적으로 외식비가 낮아질 가능성은 낮음.
 
즉 외식비 상승률의 비율 자체는 미국보다 낮지만, 벌어들이는 생활비 (임금) 대비 
상승한 외식비에 지출할 수 있는 비용이 줄어든 효과가 나타나 외식비에 대한 부담이 발생
 
즉 월급을 물가상승률만큼만 올려 받았다고 가정하면, 외식비 상승률이 높아 그 차이만큼의
상승이 가계 지출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외식비 상승을 줄여주기 위해서는 특히 환율이 안정되고 기형적인 유통비를 단순화시켜
조정이 되어야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가 흔히 월급은 안 오르고 나머지는 다 오른다고 했던 말이 실제 현실인 상황입니다.
요즘 식대가 1000원 2000원씩 쉽게 올라 놀라게 되네요.
경기가 많이 안 좋은데 모두들 파이팅 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