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14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에 대하여

엔 캐리 트레이드의 정의1. 엔 캐리 트레이드란?금리가 낮은 일본에서 엔화를 빌려 금리가 높은 국가(미국, 신흥국 등)에 투자하는 전략.일본 금리가 낮았던 동안 많이 활용됨. 2.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이란?일본 금리가 상승하면서, 엔화 차입 비용이 증가.투자자들이 기존 엔화 대출을 상환하거나, 해외 자산을 매도하고 자금을 일본으로 되돌리는 과정3. 2023~2024년 일본 초저금리 vs. 미국 고금리(5% 이상)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미국투자에 대한 엔케리 트레이드 활성화가 이루어짐.엔 캐리 트레이드가 발생 가능성 1. 일본 금리 인상 및 경제 호조 일본 경제지표가 개선되고 있으며,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이고 있음.일본은행(BOJ)은 임금 상승을 물가 상승의 전제로 보고, 금리 인상 가능..

미국 PPI발표와 증시의 반응

2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내용전월 대비(MoM): 0.0% (시장 예상: +0.3%)전년 대비(YoY): 3.2% (시장 예상: 3.3%) PPI는 시장 예상보다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주식시장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하락했습니다. 미국증시 하락에 대한 뉴스를 정리해 보면 관세정책의 불확실성과 연준의 2% 물가 안정을 바라보는 시각으로 요약이 됩니다. 미국증시하락에 대한 다양한 뉴스 내용을 요약 1. 관세정책에 대한 ISSUE정책이 명확하고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던 때에는 금리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 하여 시장의 방향성이결정되고 움직였으나, 시장은 여전히 ​​확신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2월말 / 3월 말 관세정책과 무역분쟁이 현재까지 잘 버티고 있는 PPI 가격의 방향을 바꿀 것이..

미국 CPI발표 내용과 증시 반응

2025년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와 관련된 시장 반응2월 CPI는 전년 대비 2.8% 상승하여 시장 예상치(2.9%)를 소폭 하회했습니다.이는 1월(3.0%) 보다 둔화된 수치이며, 인플레이션이 점진적으로 안정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근원 CPI(Core CPI,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전년 대비 3.1% 상승(예상치 3.2%),이는 2021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입니다. CPI 보고서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서,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관세 정책 관련 변수와 최근 부각 되고 있는 엔캐리 청산 가능성등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얼마 전 상승장에 호재로 작용했을 것 같은 내용이 묻히고 있는 상황입니다.CPI 발표 이후 미국 증시는..

미국 주요 경제 지표 발표 일정 정리

1. 미국 주요 경제 지표 발표 일정을 정리하였습니다 FOMC 금리 결정과 GDP 성장률 발표일자는 서머타임을 반영한 일자입니다.2. 소비자물가지수(CPI) 전년 대비 +2.9%, 근원 +3.1% (예상) [전년대비] [전월대비]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대비 +3.1% 상승했다고 하면, 작년 같은 기간보다 소비자들이 구매하는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이 3.1% 올랐다는 뜻입니다. 이것보다 높은 수치가 나오면인플레이션 지속 쪽에 무게가 실리게 됩니다. 2021~2022년 인플레이션이 급등(7.0%) 이후 점진적으로 하락하여 2025년에는 3.1%로 안정화 예상CPI가 3.1%로 유지된다면, 물가는 꾸준히 오르지만 급등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