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14

VDSL 통신으로 UHD시청 문제는 없나?

1. 국내 통신사의 서비스 정리1) KT (한국통신)VDSL : KT는 과거 구리선 인프라(전화 통신선)를 활용해 VDSL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특히 오래된 아파트나 건물에서 여전히 VDSL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VDSL2 기술로 최대 100~200 Mbps 속도를 지원합니다.광통신: KT는 현재 광섬유 기반의 FTTH(Fiber to the Home)를 적극적으로 확대 중이며,"기가 인터넷"이라는 이름으로 1Gbps 이상 속도를 제공합니다. 신축 아파트나 도시 지역에서는 광통신이 주력입니다.현황: VDSL은 구형 인프라가 남아 있는 지역에서 사용되지만, 점차 광통신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2) SK브로드밴드 (SKT 계열)VDSL : SK브로드밴드도 VDSL을 일부 지역에서 제공하지만, 주로 S..

생필품 가격 또 오르나?

4월부터 생필품가격이 오른다고 합니다. 경제 상태가 많이 안 좋은데 생필품까지 오르면 서민생활에고충이 커질 것 같습니다. 소비심리 지수 88,4에서(100 이상이 양호) 약간 회복 중인데 안 좋은 소식만 들립니다. 1. 생필품 가격 인상 1) 대상 품목라면, 우유, 맥주, 아이스크림,빵, 패스트푸드등 일상생활에서 자주 소비되는 먹거리와 생필품이 가격 인상 대상으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진라면, 카스(맥주)와 같은 인기 제품들도 포함됩니다. (5~10% 인상 예상) 2) 인상 시기2025년 4월부터 순차적으로 가격이 오를 예정이며, 일부 제품은 이번 주말(3월 말) 전에 미리 구매하는 것이 좋다는 조언이 나오고 있습니다. 3) 인상 이유물가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원자재 가격 증가, 생..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꿀벌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사라지는 현상에 대해 최근 뉴스에 자주등장 합니다. 최근 과일 농가에서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과일 농사에 벌써부터 빨간불이 켜졌다고 합니다. "꿀벌 실종 현상(Collapse of Honeybee Colonies)"현재까지 명확한 원인을 하나로 단정 짓지 못했지만, 여러 요인들이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꿀벌의 소멸은 단순히 한 종의 멸종을 넘어 식량 안보, 생태계 안정성경제적 지속 가능성에 연쇄적인 위기를 초래합니다.아인슈타인이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는 4년 안에 멸망한다"라고 한 말은 과장이겠지만, 그만큼 꿀벌의 중요성을 강조한 경고로 해석됩니다.우리나라에서도 꿀벌 감소가 계속된다면 농업과 생태계에 미치는 파장은 피할 수 없을 것이며, 이를 막기..

양자 컴퓨팅에 대한 젠슨 황의 입장 변화

1. 양자컴퓨팅에 대한 정리1) 기존 컴퓨터 vs 양자컴퓨터 기존 컴퓨터: 정보를 0과 1로 표현하는 비트(bit) 단위를 사용합니다. 한 번에 0이거나 1만 가질 수 있습니다. 양자컴퓨터: 정보를 **큐비트(qubit)**로 표현합니다. 큐비트는 0과 1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중첩(superposition) 상태를 이용합니다.2) 양자컴퓨팅의 핵심 개념중첩(Superposition) 큐비트는 0과 1의 모든 상태를 동시에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전 컴퓨터는 2개의 비트로 4가지 경우의 수(00, 01, 10, 11)를 한 번에 하나씩 계산하지만, 양자컴퓨터는 한 번에 모두 계산할 ..

한국의 외식 비용 왜 비싸게 느껴질까?

한국의 외식비 상승이 일본이나 미국과 비교하여 구조적으로 더 높은지, 비슷한지 알아보았습니다.요즘 외식 비용이 너무 많이 올라 점심 외식비 부담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느낌입니다. 1. 한국 vs 일본 vs 미국: 외식비 상승률 비교 소비자 물가 대비 외식비 상승률최근 몇 년간 한국, 일본, 미국의 외식비 상승률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한국의 외식비 상승률은 2023년에는 5.9%로 일본(5.4%) 보다 높았지만, 미국(7.1%)보다는 낮았습니다.2) 2024년 예상치로 보면 한국(3.1%)이 일본(3.8%) 보다 낮고, 미국(5.0%)보다는 여전히 낮습니다. 한국의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024년 약 2.3%) 대비 외식비 상승률(3.1%)을 보면,외식비가 물가보다 더 빠르게 오르는 경향이..